기성품 중에서는 좋은 편이라는 의미가 아닐까 하네요. 제가 밑에 글에서도 썼지만, 결국 바밀로의 스태빌도 보강판 체리식 스태빌이기 때문에 특히 스페이스바는 아무리 작업을 해도 한계가 있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제가 바밀로 키보드를 가지고 있지 않고, 몇 개월 전에 용산에서 데모를 눌러봤던 게 전부라서 (그리고 그때는 아직 스태빌에 큰 관심이 있기 전) 정확하게 비교를 할 수가 없어서 아쉽네요. 구산컴넷에서 바밀로는 못 본 거 같고... 브라보텍은 여전히 타건샵을 열지 안 열지 모르겠으니.... 전자랜드 리썬즈몰에 바밀로 데모가 있던 거 같으니 언제 용산 갈 일 있으면 눌러봐야겠습니다.
그냥 다르다 정도로는 부족합니다. 보강판 체리식 스태빌라이저도 물론 작업을 잘하면 철심소리가 잡힙니다만, 스페이스바는 답이 없습니다. (기본적인 윤활 작업은 물론이고, 축을 제거한 후 스태빌 하우징과 철심을 분해해 철심수평/하우징발톱제거 작업을 해야 겨우 조금 나아지는 수준입니다. 제 생각엔 그럴 바에 보강판이 마제식(코스타) 스태빌로도 교체사용이 가능한 규격이라면 바꿔서 쓰는 게 낫습니다.)
결국 저는 마제식 혹은 무보강판(기판연결식) 스태빌이 적용된 키보드로 가려고 합니다. 마제식은 특유의 키캡교체 불편함 때문에 요즘은 잘 쓰이질 않아서 필코/레이저구형 키보드 외에는 찾기 힘들고... 기판연결식은 커스텀에는 많은데 기성품에는 찾기 힘들어서 체리사키보드, 덱거북선, 타이폰신형, 닌자87BT가 제가 아는 전부입니다. 나머지 기성품은 전부 보강판식이거나 하이브리드 스태빌이에요. 문제는 제가 풀배열을 선호하는데 커스텀에 풀배열은 극히 드물다는 점... 있어도 전부 보강판식 스태빌이었습니다.
저도 그런 키보드가 있는데, 제가 하단의 최근 댓글에 쓴 것처럼 스페이스바 키캡을 탈거해서 확인하니 키캡 자체의 수평이 미세하게 틀어져 있었습니다. 뜨거운 물로 살살 성형하니까 드디어 제대로 잡혔습니다. 내일부터 다른 키보드에도 확인해서 보강판 스태빌로도 얼마나 좋은 소리를 나게 할 수 있을지 계속 시도해보려고요!
근본적으로 스페이스바가 너무 길기 때문에 잡소리가 많이 발생하는 것이라 스페이스바가 반으로 나누어진 키보드도 고려했습니다만, 이건 소수의 특이하고 괴상한 배열(...) 모델에만 적용된 방식이고요. 마제식이나 무보강 스태빌의 소리가 보강판 스태빌에 비해 훨씬 나은 편이라 저는 그쪽으로 완전히 마음이 기울었네요.
스페이스바가 짧은 것들을 보면... 키보드 자체가 반으로 갈라지는 분리형 키보드는 구하기도 힘들다는 문제를 차치하더라도 좌측으로 떨어져버리는 B키 때문에 한글 두벌식 타자에 상당한 불이익이 있죠. B키가 좌우에 모두 달려 있는 CA106이나 요즘 점점 뜨고 있는 앨리스 배열 같은 인체공학 배열은..... 적응 안 될 거 같네요. 개인적으로 텐키리스도 풀배열에 비해 그나마 쓸 수는 있다 정도로 여기는 사람이라... 96% 배열도 하나 사봤는데 적응 안 돼서 방출하려고 하거든요.
이건 제가 이미 이 작업을 하다가 흠집을 내서... ㅜㅜ 중요하기 때문에 새 댓글로 적겠습니다. 혹시라도 뜨거운 물로 스페이스바 키캡 등을 펴는 작업을 하신다면 꼭 깨끗한 손가락으로만 누르세요. 만약 무거운 책 등으로 누른다면 꼭! 반드시! 무거운 것과 키캡 사이에 깨끗한 수건 등을 끼우세요. 안 그러면 키캡 표면에 흠집이 발생할 확률이 있습니다. 열이 가해져서 플라스틱이 약해진 상태이므로 그 상태에서 충격을 가하면 (운반하다가 놓쳐서 부엌 바닥으로 떨어뜨린다든지!) 흠이 더 잘 생깁니다. 식을 때까지 주의 또 주의하셔야 합니다.
만약 키캡에 흠집이 생겼다면 부드러운 고무 지우개 등으로 살살 문지르면 괜찮아진다는 글이 보여서.. 나중에 시도해보려고 합니다. 단, 이것도 기본 플라스틱 베이스에 난 흠집 한정이지, 염료 부분이나 상부사출의 얇은 플라스틱 부분이라면 지우개 마찰로 상태가 더 나빠질 수도 있을 듯...
과거에 매스드랍에서 팔았던 VA87M은 마제식 스태빌라이저가 장착되어 있네요: https://drop.com/buy/varmilo-mechanical-keyboard/talk?search=stab
바밀로 공홈의 블로그 포스트를 보면 PCB(기판)에 나사로 직접 연결되는 스태빌(=무보강판 체리식 스태빌)이 더 기분 좋은 경험을 하게 해준다는 글이 있습니다. 무보강판 스태빌도 나사고정식과 별개로 그냥 딸깍 끼우는 방식도 있다네요. 나사고정식보다 흔들리기 때문에 굳이 쓸 이유는 없어보이지만...: https://en.varmilo.com/enblog/2020/10/30/how-to-build-a-custom-mechanical-keyboard/
결국 저는 마제식 혹은 무보강판(기판연결식) 스태빌이 적용된 키보드로 가려고 합니다. 마제식은 특유의 키캡교체 불편함 때문에 요즘은 잘 쓰이질 않아서 필코/레이저구형 키보드 외에는 찾기 힘들고... 기판연결식은 커스텀에는 많은데 기성품에는 찾기 힘들어서 체리사키보드, 덱거북선, 타이폰신형, 닌자87BT가 제가 아는 전부입니다. 나머지 기성품은 전부 보강판식이거나 하이브리드 스태빌이에요. 문제는 제가 풀배열을 선호하는데 커스텀에 풀배열은 극히 드물다는 점... 있어도 전부 보강판식 스태빌이었습니다.
방법이 없어서 제가 캐드 설계부터 해서 키보드를 제작해야 하나 싶었는데... 블루투스가 없다는 점만 빼면 제가 원하는 것들이 다 적용된 키보드가 곧 출시된다고 해서.. 거기에 기대를 걸고 있습니다: https://www.keychron.com/pages/keychron-q6-custom-mechanical-keyboard
기성품과 커스텀의 경계가 점점 모호해져 가는데, 더키는 원래 고가 브랜드가 아니고.. 바밀로는 더키보다 조금 비싼 수준이기는 해도 커스텀 주문도 받는 회사이므로 앞으로 출시될 기성품에 일반 소비자와 키보드 애호가 모두가 만족할 수 있는 스태빌이 장착되길 바라겠습니다.
스페이스바가 짧은 것들을 보면... 키보드 자체가 반으로 갈라지는 분리형 키보드는 구하기도 힘들다는 문제를 차치하더라도 좌측으로 떨어져버리는 B키 때문에 한글 두벌식 타자에 상당한 불이익이 있죠. B키가 좌우에 모두 달려 있는 CA106이나 요즘 점점 뜨고 있는 앨리스 배열 같은 인체공학 배열은..... 적응 안 될 거 같네요. 개인적으로 텐키리스도 풀배열에 비해 그나마 쓸 수는 있다 정도로 여기는 사람이라... 96% 배열도 하나 사봤는데 적응 안 돼서 방출하려고 하거든요.
분명히 제가 보강판 체리식 스태빌에 할 수 있는 작업을 다 했는데도 스페이스바를 누르는 부위에 따라서 찰찰거림이 들리는 키보드들이 있었는데, 키캡을 탈거해서 유리판 위에 놓아보니 미세하게 수평이 맞질 않았습니다. 휘어진 키캡을 펴보려고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mechanicalkeyboard&no=682956 이나 https://www.youtube.com/watch?v=OeYnbhPzHig 등을 참고해서 펴봤더니 웬걸, 효과가 확실합니다! 완벽하게 펴는 건 힘들지만 좌우수평이라도 어느 정도 맞으면 스페이스바 특정 부위를 눌렀을 때 찰찰거리던 소리가 드디어 잡힙니다. 일단 1대는 확실히 효과를 봤고, 나머지들도 시간 날 때 작업해 보려고요.
그래도 소음감소용 스태빌 철심 끝 테이핑 등의 작업은 기판이 핫스왑을 지원하지 않는 이상 납땜이 필요하기 때문에 펀키스의 키보드로 한정하면 핫스왑이 가능한 더키원3가 아닌 이상 스태빌을 완벽하게 잡기는 꽤 고된 작업이 될 것 같네요.
만약 키캡에 흠집이 생겼다면 부드러운 고무 지우개 등으로 살살 문지르면 괜찮아진다는 글이 보여서.. 나중에 시도해보려고 합니다. 단, 이것도 기본 플라스틱 베이스에 난 흠집 한정이지, 염료 부분이나 상부사출의 얇은 플라스틱 부분이라면 지우개 마찰로 상태가 더 나빠질 수도 있을 듯...